모놀로그

궁 9부- 효린을 대하는 신군의 마음 본문

주지훈/궁

궁 9부- 효린을 대하는 신군의 마음

모놀로그 2011. 2. 6. 00:43

 

 

 

효린을 대하는 표정은

상당히 야릇하다.

 

애틋해보이기도 하고,

그리움에 가득 차 보이기도 한다.

아니, 오히려 채경과 있을 때보다

훨씬 더 관능적이다.

만일 내가 효린이었다면 신군을 영원히 놔주지 않았을만큼...

 

 

하지만,

난 무엇보다 연민을 본다.

 

난 그 점에 주목했다.

 

만일,

신군이 채경과 여전한 사이였다면 어땠을까.

 

오히려

신군은 효린에게 매정하게 굴었을 것 같다.

 

혼인을 결정한 후에

그가 효린에게 묘하게 미련을 둔 듯 하면서도

단호하게 대하듯 말이다.

 

그러나

그는 반대로 갑자기

매우 애틋하게 그녀를 대하는데,

그 이면에서 난 연민을 본 것이다.

 

그렇다면 왜 갑자기

신군은 효린에게 연민을 느끼게 된 것일까?

 

그래서 난 오히려

효린을 대하는 태도의 변화에서 채경에 대한 마음을 읽는다.

 

사실,

신군은 효린이 새삼 앙탈을 부리는 것에 대해서 할 말이 많다.

 

아니

거꾸로 말하자면

효린이 새삼 앙탈을 부리는 것 자체가 우습다.

 

왜냐면 효린은 스스로

신군의 제안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내가 제일 신기한 부분이 있다면

효린의 신군을 대하는 마인드인데,

 

그녀는 신군이 스스로가 짊어진 황태자라는 무거운 짐을

단지 내려놓고 싶어하는 것만 알지,

 

동시에

그 짐을 함부로 대하진 않는다는 것,

자존심과 긍지를 가지고

그것을 대한다는 건

모르는 것 같다.

아니면 무시하던가.

 

분명 효린은 신군을 사랑하는데,

그러나 황태자로서의 그는 별로 안중에 없다.

 

순수하게 말하면

인간 이신을 좋아하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그러나

 

그가 분명 황태자인 한 그것도 존중해줘야 하지 않을까.

 

효린의 말대로 그녀는

자기 손을 비우지 않고 욕심만 낸다.

 

자신의 꿈과

신군, 둘 다를 원한다.

 

꿈을 이루기 위해선 황태자비가 될 수 없다.

신군을 가지려면

황태자비가 되어야한다.

 

그녀는

꿈과 신군을 가지려고 했다.

 

신군과 황태자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그의 한계이자 굴레라는 걸

이해하지 못한다.

혹은

이해할 마음이 없다.

혹은 이해할 능력이 없다.

 

그래서

그녀는 청혼을 거부했고,

그래서

그녀는 필연적으로 신군을 잃었다.

 

그런데

그녀는 새삼 태국까지 찾아와서

눈물 공세로 그를 공격한다.

 

합리적으로 생각하면

그녀의 행각은 말도 안되지만,

 

그러나 신군은 갑자기

그녀의 앙탈을 순순히 받아들이는데,

 

난 그가 그러는 이유가,

그가 마음이 달라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그의 마음이

채경에게 상당히 기울어져 있음이 그로 하여금

효린에게 미안함을 느끼게 했다는 것이다.

 

아니

애초에 효린이 태국까지 와서

앙탈을 부리는 이유부터가

채경이라는 인물이 생각보다 강적이라는 걸

은근히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신군과 효린이 함께 보내는 시간들은 필연적으로 내게

 

신군과 채경이

멀리 떨어져 지내는 동안에

상대에 대한 마음을

어떤 식으로 드러내는가와

연결된다.

 

채경은 필사적으로 신군을 그리워한다.

 

아주 단순하게,

아주 노골적으로

신군을 그리워한다.

 

언제나처럼

솔직하고 거리낌없이..

 

 

신군은 어떠한가.

 

그는 필사적으로 채경을 피한다.

 

이유가 뭘까.

 

왜 그녀의 전화를 받지 않고,

스스로도 전화하길 피하는 걸까.

 

그는

태국행 직전에,

낙마 사건으로 인해서

 

자기가 처음으로 뭔가에 집착하기 시작했음을 느꼈다.

집착이란 걸 모르던 그이다.

 

사랑하는 여자친구조차

간단히 포기했던 그이다.

 

아무것도 욕심내지 않고,

아무것도 집착하지 않던 그가,

 

갑자기

그런 상대가 생긴 것이다.

 

질투, 소유욕,

미움, 뭔지 모르게

짜증하게 하는

그 복잡미묘한 감정들.

 

아마

효린은 그런 원색적인 감정을 그에게

불러일으킨 적이 없으리라.

 

그리고

신군은 그런 감정들이 낯설고

감당이 안된다.

 

그리고

그런 것들이 싫다.

 

그는

자기도 모르게

적응되어가고 젖어들어가고 있던

채경이란 인물에게서

달아나기 위해

지금까지 자기도 모르게 걸어온 길을

되돌아가려고 안간힘을 쓰는 것이다.

 

일찌기 계란 투척 사건을 계기로해서

처갓집 방문이며

여러 사건을 통해

자기도 모르게

애착을 느끼고 의지하게 된

채경이란 인물을

낙마사건을 통해 강렬하게 의식하면서

 

이제 그것들을 다시 내던지려고 하는 것 같다.

 

그러던 차에

효린을 만난 것이다.

 

그는

기꺼이 효린과의 세계에 몸을 던진다.

 

동시에

그녀에게 애툿한 연민을 느낀다.

 

자기 마음은 이미 반쯤은

다른 곳에 가려고 한다.

 

그런데

자기를 거절한 여자친구가 새삼 울고짜며

매달린다.

 

그는

태국행의 공식 일정과, 채경이라는 여자에 대한 원초적 그리움과

여러가지 복잡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탈의 조건으로

효린과 잠시 시간을 보내는 것이다.

 

정리여행이기도 했지만,

그의 말대로

평범한 효린의 남친이 되고 싶었을 것 같기도 하다.

 

후에

효린이 왜 태국행을 못잊고

더욱 더 신군에게 집착하기 시작했는지 이해할 것 같았다.

 

아니

태국에서의 일들이

효린에게 어떤 의미가 되었을지 이해하게 되었다고나할까.

 

여자에겐

그런 시간들은

그렇게 간단히 흘려보낼 수 있는 시간이 아니다.

 

신군에겐 어떤 의미든 상관없이 말이다.

 

진실로

효린에게 그게 마지막이라는 마음이 설사 있었다해도

그 시간들로 인해 되살아났을 것이다.

하물며

그녀는 전혀 그럴 마음이 없었으니

마른 짚에 불을 지른 셈이다.

 

그토록

신군이라는 인물과 처음으로 함께 지낸

그런 시간들은

효린에겐 잊을래야 잊을 수 없는

강렬한 순간이 되버린 것이다.

 

아마 효린도

그런 모습의 신군은 본 적이 없을테니.

 

난 거기서

막연한 슬픔을 느낀다.

 

누구에겐

잊을 수 없는 시간들이

다른 사람에겐

아무것도 아니라는 건

참 슬픈 일일 것 같다.

 

아니

공유한 그 순간에 대한

기억의 가치가 다른 것,

 

혹은

그 기억을 대하는 마인드가 다른 것,

 

그것이 바로 비극이다.

 

왜냐면

서로 사랑하는 사람들에겐

어떤 순간이

같은 의미요 가치여야 하니까.

 

다시 말해서

신군에게 태국 사건은

별 의미가 없었고,

 

그에겐 그게 마무리였다는 게

효린의 입장에선 얼마나 아픈 일인가.

 

효린에겐 그게 시작이었으니 말이다.

무서운 집착에 불을 끼얹은 시간들이었으니 말이다.

 

집착을 모르던 신군이

집착하게 된 채경에게서 탈출을 꿈꾸며

감행한 태국행과 거기서의 사건들은,

한편으론

그의 마음에

신선한 향취를 풍기며

채경이 불어일으키는 바람을 그리워하게 했을테니까.

 

그래서

다시 본 9부는

내게

효린이라는 여자애의

아픔을 느끼게 해준

좀 특별한 시간이었다.

 

동시에

 

멀리 떨어지는 것으로

서로의 존재의 무거움을 인식하게 됨으로써

앞으로 겉으로야 어떻든

내면으론

한층 더 상대를 깊숙히 의식하게 될

신군과 채경 사이가

 

마치 바오밥 나무처럼

그 씨앗을

잉태하기 시작하는 것이다.